만우절 바이러스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Conficker와 같은 말웨어는 1감염 메커니즘으로써 오토런 기능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오토런 기능은 CD나 다른 미디어를 컴퓨터에 삽입했을 때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목적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AutoRun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의 증가 추이.
Engineering Windows 7에 의하면, Conficker와 같은 악성 소프트웨어가 오토런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려고 윈도 7은 오토런 기능과 관련하여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ODD를 제외하고 이제는 AutoPlay가 AutoRun을 지원하지 않음.
즉, AutoPlay는 더 이상 USB 드라이브를 지원하지 않고 CD/DVD에서 동작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만일 감염된 USB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연결하더라도 이제는 오토런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아래 스크린샷이 오토런 기능의 변화 이후 사용자가 보게 되는 대화창의 차이점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외부 미디어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을 명확하게 짚는 대화창 문구.
☞ 연관 글:
- 2009/04/24 - [컴퓨터 관련/Windows] - Windows 7 RC Build 7100으로 확정
- 2009/03/06 - [컴퓨터 관련/Windows] - Windows 7, IE8의 on/off가 가능하다??
- 2009/02/14 - [컴퓨터 관련/Windows] - XP와 비스타에서 Windows 7으로의 업그레이드 세부 정보
- 2009/02/05 - [컴퓨터 관련/Windows] - Windows 7의 6가지 에디션
- 2008/12/02 - [컴퓨터 관련/Windows] - Windows 7, GPU 없이도 DirectX 가속화 제공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웹, 컴퓨터, it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 및 소식]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 Conficker 바이러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려면 아래 주소로 가시면 됩니다. http://www.microsoft.com/korea/protect/computer/viruses/worms/conficker.mspx [본문으로]
'컴퓨터 관련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 beta 사용권 만료일 (0) | 2009.05.26 |
---|---|
Windows 7에서 가상 XP 구동을 위한 필요조건 (3) | 2009.05.06 |
Windows 7의 AutoRun 기능 변화 (8) | 2009.04.30 |
Windows 7 RC Build 7100으로 확정 (4) | 2009.04.24 |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14 공식명칭은 오피스 2010 (6) | 2009.04.16 |
Internet Explorer 8.1: Eagle Eyes - 만우절 낚시 (4) | 2009.04.01 |
|
Comments
맥처럼...좀 더 빠르고..좀더 바이러스로부터..좀더 좋아졌으면 하는 바램이에요..ㅠㅠ
가끔 가다가 맥도 윈도처럼 사용자가 많다면 과연 지금처럼 유지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사용자가 많아지면 그만큼 불순한 의도를 가진 '시도'들도 늘어나지 않을까요?
오로지 저의 생각입니다. ^^;
오늘은 까만 물고기 한넘만 정해서 고놈에게만 밥을 줄려고 해보니...요넘이 좀 둔해서 다른놈들에게 다 뺏기고 정작 지는 못먹네요..ㅋㅋ
그렇더군요. 다른 놈들도 마찬가지에요. 한 녀석 지정해서 줘보려고 하면 항상 그 놈은 바보짓 하더군요. ㅋㅋ ^^
물고기가 밥주고 잘보고 갑니다. 물론 추천도 날려드리고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sky~님!
블로그 좋은 글 잘 읽고 있어요~ ^^
아아...
왜 Autorun이 안돌았었는지 이제알겠네요 -ㅅ-;;
그렇다고 외장하드에 CD영역 만들수도 없는 노릇이고 신념이 일반영역에서 살자고..ㅠㅠ
기존 Autorun 기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윈도 7의 Autorun 기능변화가 당분간은 불편하겠지요.
그런데 창궐하는 바이러스 때문이라고 하니 다른 획기적인 해결책이 나오기 전에는 이번 조치처럼 아예 막아버리는 것이 제일 나은 것 같습니다.